음악

Kol Nidrei 신의 날 op.47 - Max Bruch (1838-1920 G.)

정광국 2016. 5. 25. 17:50


* 미켈란젤로 - 피에타

Max Bruch (1838-1920 G.)
Kol Nidrei 신의 날 op.47 이 곡은 본시 첼로 독주와 관현악 반주로 고대 히브리의 전통적인 선율인 성가
콜 니드라이를 변주시킨 환상곡이다. 제목은 신의 날이란 뜻인데 이것은 유대 교회에서 속죄의 날에 부르는 찬송가이다.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못하고,
1년의 단 하루 속죄의 날인'욤키푸르'에 대제사장이 성전에 들어가
딱 한번 하나님의 이름을 부를 수 있었는데,
그때 유대인들이 부르던 음율을 브루흐가 편곡한 곡이다.
  그러므로 이 곡은 종교적인 정열이 넘쳐 흐르며 동양적인 애수가 깃들어 있고
로맨틱한 정취도 풍기는 작품입니다. 곡은 2개의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제1부는 D장조이다. 여기서 첼로는 밝고 힘찬 기분이 나는 멜로디로 연주 하며 변주풍이 전개된 후 조용히 끝난다.
그렇다
콜 니드라이를 들으면
눈발이 날린다

죽음의 그림자가 고요히 드리운다
이별의 슬픔이 고즈넉하게 다가온다
이 세상을 떠나는 영혼들의 애처러운 호소가 들려온다
아니...그들을 보내는 이들의 슬픈 메아리가 들려온다
여름에도 차가운 눈발을 날리는 이 음악...
삶과 죽음을 생각하게 하는 이 음악...
신이 주신 마지막 운명을 듣게 하는 이 음악...
그래서 내가 사랑하는 이 소리...
 
 콜 니드라이 막스 부르흐

첼로의 낮은 음이 가슴을 저미고 스며든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Gary Karr 더블베이스 연주
 


Mischa Maisky, violoncello Yuri Temirkanov, cond St Petersburg Philharmonic Orch Gala Concert 300 Years Of St. Petersburg

      ~♬~ 속죄의 노래(콜 니드라이)


      그 날은 눈이 나리고 있었다
      11시.....
      그의 목소리가 들렸다
      며칠 동안 다른 이가 대신하던 방송이었다
      어딘지 더 차분해진 듯하지만
      그의 목소리는 언제 들어도 따뜻하고 정겨운 소리...

      오늘 아내를 보내고 왔습니다
      이렇게 눈이 오네요
      눈 속에 떠난 아내를 생각하며
      이 음악을 보냅니다

      고음의 애절한 음으로 시작되어
      첼로의 저음까지 낮게 내려 가는 이 음악...
      그리고 바로 이어서
      첼로의 강하고 부드러운 선율이 호소한다
      탄원하다
      통곡한다
      마치 무엇에 끌리듯이 끈끈하게 나아가는 이 소리....

      얼마나 슬픈가?
      얼마나 고통스러운가?
      얼마나 가슴이 미어지는가?
      얼마나 후회하고 몸부림치는가?

      강하게 다가오는 오케스트라의 증폭되는 화음
      애절하게 호소하는 첼로
      다시 강하게 반복하는 오케스트라
      무언가 다시 호소하는 첼로
      신과 인간인가?
      최후의 날...
      아니면 우리 삶의 어느 길목에서 조우한 우리의 운명
      운명에 순응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애절한 호소인가?
      오케스트라는 그렇게 엄숙하게 다가선다

      그는 아내를 잃었다
      이 겨울....
      눈밭에 아내를 남겨 두고 돌아서 온 남편.....
      그의 아내는 천국에 가는 길에 이 음악을 들을까......
      <클래식 쌀롱>을 진행하던 최형섭씨.....
      아내가 오랜 병으로 떠난 날
      그는 이 음악을 골랐다

      슬픔이었을까?
      회한이었을까?
      죽음 그 자체였을까?

      <신의 날>이라는 뜻을 가진 이 음악

      고대 히브리의 전통적인 선율인 성가
      <콜 니드라이>를 주제로 환상곡풍의 변주곡으로
      자유스럽게 작곡한 음악
      유태교에서 유월절에 부르는 찬송이었다 한다

      신의 날....그들은 무엇을 했을까?
      애급에서 탈출한 것을 기리는 명절....
      그 유월절이 되면
      8일 동안 유태인들은
      부풀리지 않은 맛짜(무교병)와 쓴 나물을 먹으며
      패배의 쓴 맛을 상기하고
      엄숙하게 슬픔을 기억한다고 한다
      그 때 그들이 부르고 들었을 노래 <콜 니드라이>
      패배와 슬픔의 맛....
      그 노래 속에서 막스 부르흐는
      신에게 바치는 이 커다란 호소를 찾아낸 것일까?

      모악산에 숨어 사는 시인 박남준은
      콜 니드라이를
      이렇게 노래한다



      <겨울포구 2>

      죽음으로 가는 고통 곁에 서면 문득문득 지난 사랑 배어 옵니
      다. 막스 부르흐 ― 콜 니드라이 작은 포구의 겨울은 황량하고
      도 우울합니다 마치 첼로의 그것처럼 연 삼일을 두고 눈발은
      그치지 않는데 무릎 근처까지 차 오르는 눈길 속에, 눈부신
      눈빛 속에 아름다운 사람들의 얼굴, 떠오르고는 자꾸 흐려집니다.




      그렇다
      콜 니드라이를 들으면
      눈발이 날린다
      죽음의 그림자가 고요히 드리운다
      이별의 슬픔이 고즈넉하게 다가온다
      이 세상을 떠나는 영혼들의 애처러운 호소가 들려온다
      아니...그들을 보내는 이들의 슬픈 메아리가 들려온다

      여름에도 차가운 눈발을 날리는 이 음악...
      삶과 죽음을 생각하게 하는 이 음악....
      신이 주신 마지막 운명을 듣게 하는 이 음악...
      그래서 내가 사랑하는 이 소리....
      콜 니드라이
      막스 부르흐
      첼로의 낮은 음이 가슴을 저미고 스며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