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T와 MRI
살아있는 사람의 내부를 처음 사진으로 촬영한 것은
1895년 독일의 빌헬름 뢴트겐에 의해서였다.
그는 자신이 실험 중 우연히 발견한 X선이
사람을 투과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자신의 부인 손을 X선으로 사진을 찍었다.
수술을 하지 않고도 살아있는 사람의 몸속을
들여다볼 수 있는 길이 열린 순간이다.
뢴트겐은
X선 발견으로 첫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됐다.
그만큼 X선 발견은 현대 물리학에서
혁명의 출발점으로 불리는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런던과학박물관이 얼마전 선정한
‘지난 100년간 세계를 바꾼 10대 발명품’에서도
X선은 단연 1위를 차지했을 정도다.
X선의 뒤를 이은 의료영상기기는
컴퓨터단층영상촬영장치(CT)다.
인체의 내부를 평면 사진으로밖에 볼 수 없는
X선의 한계를 극복한 기술이다.
X선을 360도에 걸쳐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인체에 투사하고 처음 쏜 방사선량과
인체를 투과한 방사선량의 차이를 측정한다.
이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현해 낸 것이 CT 사진이다.
CT가 X선 촬영의 연장선상에서 개발된 기술이라면,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MRI)는
X선과는 전혀 다른 핵자기공명(NMR)이라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세포내 수소(H)에 강한 자기장을 걸어
되돌아오는 변화를
2~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장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