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

박목월 선생님 사모님 이야기

정광국 2014. 7. 20. 22:18

 

박목월 선생님 사모님 이야기

 

Note ; 저가 초급장교로 근무시 부대원중 박목월 선생님의 아들이 있었다. 직접 아들의 특별휴가

를 청하고저 부인과 같이 주일날 부대로 찾아오신것이다. 집안에 큰 행사가 있어 아들의 참석을

간청하기 위하여....물론 두말 없이 3일의 휴가를 내 주었다. 그때의 그 어머님의 진지함을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한다. 그 분이 오늘의 이야기 주인공이다. 요즘 세상에 이러한 여인이 있을까요 ?

대단히 감명깊은 이야기 입니다./ sjp

그날 밤 눈사람

현모양처 이야기(박목월 시인 부인의 남편사랑 이야기)

가족이라는 것은 모든 삶의 중심에 놓여진 내 생명의 가치와 생명의 이상과 그리고 생명의 실현의 목표가 되는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가족들이 어떻게 엉켜 살아가야 하는가 하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청목파 시인 박목월님의 아드님, 박동규 문학박사의 이야기]

내가 6살 때였습니다. 눈이 펑펑 쏟아지는 밤이었는데, 아버지는 글을 쓰고 싶으셨습니다. 저녁을 먹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 아버지가 방에 상을 가지고 오라고 했습니다. 책상이 없었던 아버지는 밥상을 책상으로 쓰고 있었죠. 어머니는 행주로 밥상을 잘 닦아서 갖다 놓았습니다.

그러자 아버지가 책상에 원고지를 올려놓고 연필을 깎기 시작했습니다. 어머니는 나에게 세달 된 여동생을 등에 업히라고 했습니다. 그리고는 이불 같은 포대기를 덮고서는 옆집에 가서 놀다 올게.”하고 나가셨습니다.

나는 글 쓰는 아버지의 등 뒤에 붙어 있다가 잠이 들었죠. 얼마를 잤는지 알 수 없습니다. 누가 나를 깨워서 눈을 떠 보니까 아버지였습니다. 아버지는 나를 깨우더니 통행금지 시간이 다 되어 가는데 네 어머니가 아직 돌아오지 않았어. 나가서 어머니를 좀 찾아오너라.”

나는 자던 눈을 손으로 비비고 털모자를 쓰고 옷을 입고 밖으로 나갔습니다. 나가 보니까 무릎높이까지 눈이 쌓여있었고 또 하늘에서는 눈이 펑펑 내리고 있었습니다. 나는 이 집 저 집 어머니를 찾아 다녔지만 찾지를 못했습니다. 지치기도 하고, 귀찮기도 해서 집으로 돌아오려다가 갑자기 생각이 났습니다. 어머니와 제일 친한 아주머니가 아랫동네에 살고 있었습니다. 그 집에 한 번만 더 다녀오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골목길로 들어서는데, 전봇대가 있고 그 전봇대 옆에 나보다 더 큰 눈사람이 있었습니다. 나는 아무 생각 없이 눈사람 곁을 스쳐 지나가는데 뒤에서 누가 동규야~”하고 불렀습니다. 보니까 어머니였습니다. 어머니는 눈을 철철 맞으며 보자기를 머리에 쓰고 있었는데 그 보자기를 들추면서 가까이에 오시더니 너 어디 가니?’하고 물었습니다.

나는 볼멘소리로 어머니를 찾아오라고 해서 아랫동네 아줌마 집에 가는 길이다라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러자 갑자기 어머니가 내 귀에 가까이 입을 대면서 물었습니다.

아버지 글 다 썼니?”

나는 고개만 까딱거렸습니다.

어머니는 내 등을 밀어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나는 이 사건을 평생 잊지 못하고 삽니다. 세월이 갈수록 내 머릿속엔 몇 시간씩이나 눈 구덩이에 서서 눈을 맞으며 세달 된 딸을 업고 있던 어머니를 생각합니다. 세달 된 내 여동생이 아버지가 시를 쓸 때 울어서 방해될 까봐 그렇게 어머니는 나와서 눈을 맞고 서 있었던 겁니다.

나는 대학을 졸업하고서 처음 직장에 다닐 때 즈음이야 조금 철이 들어서 고생하는 어머니에게 한 번 물었습니다. “엄마, 그때 얼마나 힘들었어. 돈도 많이 벌어오지도 못하고, 그런데 어머니는 뭐가 좋아서 밖에 나가서 일도 하고 힘들게 고생하면서 애를 업고 있었어?” 나는 어머니가 우리 집 생활을 끌고 가는 것이 안타까운 마음에서 물어본 것입니다.

그런데 어머니는 웃으면서 그래도 니 아버지는 밤에 그렇게 시를 다 쓰고 나면 발표하기 전에 제일 먼저 나보고 읽어보라고 해~” 하고 웃으셨습니다.

어머니가 아버지와 살아가면서 힘든 일을 겪어가면서 시인으로 살아가는 아버지를 이해하는 것은 바로 시 한 편을 읽어보라고 하는 아버지의 배려의 힘이었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남편과 아내가 서로를 이해하고 사랑하고 사는 것은 이런 배려를 통해서 서로 사람을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