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 눈의 ‘라면 전도사’ 로저스 “라면 덕분에 한국이 더 좋아졌어요.” 라면은 이제 한국인만 좋아하는 음식이 아니다. 아직 전 세계라고는 할 수 없지만 한국 라면을 맛본 외국 사람 중에는 한국 라면 예찬론자가 많다. 한국 라면을 엄청 좋아하는 미국인 김미남씨를 만났다. 본명은 P J 로저스(P. J. Rogers)다. 김미남은 ‘김치를 좋아하는 미국 남자’의 준말이다. 한국 음식 중 김치와 가장 잘 어울리는 음식이 뭘까? 당연히 라면이다. 김치를 잘 먹는 사람이 라면인들 싫어하겠는가라는 생각이 들어 “라면 잘 드세요?” 하고 물어봤다. 답은 예상대로였다. “엄청 좋아해요.” 그는 한국말을 잘하고 한국 문화에 대해서도 정통하다. 나이를 물었더니 “제가 1969년생인데 원숭이띠예요. 띠는 음력으로 따지잖아요. 1969년생은 닭띠인데 제 생일이 2월 15일이라서 음력으로 하면 원숭이띠가 돼요.” 기가 막혀서 속으로 “미국 사람 맞아?”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는 라면을 되게 좋아한다. 라면을 먹는 모습을 표 안 나게 유심히 봤는데 그는 김치를 듬뿍 얹어서 라면을 탐스럽게 먹었다. 먹고 나서 콧물이 나온 것을 보고 그에게 휴지를 건넸더니 그가 하는 말이 걸작이다. “(먹을 때) 콧물이 나와야 맛있는 라면입니다.” ‘라면도사’답게 좋아하는 라면도 확실하다. “신라면을 제일 좋아하고 나가사끼짬뽕이 두 번쨉니다.” 라면 끓이는 비장의 레시피(조리법)도 있다. “신라면을 끓일 때는 감자, 양파, 계란을 넣고 김치는 안 넣어요. 김치는 라면을 먹으면서 반찬으로 먹습니다. 라면에 고구마를 넣어서 끓여도 맛있습니다. 약간 단맛도 있어서 좋거든요. 다만 고구마를 너무 오래 넣어두면 안 되고 딱 익을 정도로만 끓여야 맛있습니다.” 그는 기회가 되면 자신만의 라면을 개발하겠다는 야심도 갖고 있다. “내가 개발하면 내 고향 텍사스의 바비큐 맛을 살려 바비큐 라면을 개발할 겁니다.” 가족들도 라면을 좋아한다. 미8군이 설립한 학교의 체육교사인 부인은 다섯 살 연하인데 장인이 미국인이고 장모는 한국인이다. 그는 윤중초등학교 4학년과 2학년인 두 딸 등 다섯 아이와 부인과 함께 서울 여의도에 살고 있다. 김미남씨 가족은 1주일에 라면을 2~4번 먹는다. 이 집에서는 라면을 아빠가 끓인다. “어릴 때부터 요리를 좋아해서 라면은 물론 다른 음식도 90% 이상 제가 해요. 아직 어린아이가 있어서 신라면은 물을 많이 타서 끓여주고 주로 순한 맛의 너구리와 짜파게티를 많이 끓여줍니다. 우리집 애들은 짜파게티를 ‘블랙 스파게티’라고 불러요.(웃음)” 그는 1988년 서울올림픽 직전에 한국에 선교사로 왔다. 그는 한국 라면을 높이 평가한다. “라면은 한국이 20세기에 개발한 음식 중에 최고입니다. 내 주위의 외국인 중에 라면 안 먹는 사람이 있다는 말 못 들었고 안 좋아하는 사람 있다는 말도 못 들었습니다. 저는 한국하고 라면을 분리할 수 없습니다. 라면은 한국 문화의 중요한 일부가 됐습니다.” 외국인들이 한국 라면을 왜 좋아하는지 물어봤다. “첫 번째는 맛있습니다. 가격도 쌉니다. 종류도 많아요. 나가사끼짬뽕을 처음 먹어봤을 때 어떻게 이런 음식까지 라면으로 개발했는지 감탄을 금치 못했습니다.” 그는 재미난 이야기를 들려주겠다면서 이런 말을 했다. “한국 사람이 외국 갈 때 무조건 라면 몇 박스 사서 가잖아요. 한국에 살던 외국 사람이 한국을 떠날 때도 라면을 박스째로 사갑니다.(웃음)” 그는 1996년부터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East=West Consulting’’이란 경영컨설팅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자신의 경력을 살려 미국에 진출하려는 한국 회사, 한국에 진출하려는 외국 회사를대상으로 하는 사업이다. 라면 수출
우리나라의 <컵 라면>이 스위스의 <몽불랑산 꼭대기>의 바위 굴에서 관광객들의 <간식>으로 인기가 높아 잘 팔리고 있다고 하는 소식을 본 일이 있다. 오늘 아침에 <조선경제> 뉴스를 보다가 지난해 라면 수출액이 <2억 1500만 달라>, <124개국>에 수출 되었고, 매년 수출 기록을 갈아치우면서 한국 산업게의 기린아로 성장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참으로 격세지감이 있다. 원래 라면이란 물건은 일본에서 중국사람 후예가 만들어 보급되기 시작한 식품이다 5. 16 혁명이 일어난 1961년 에 우리나라의 수출액이 2000만 불 정도 였고, 수산물이나 고작 비싼 물건이라야 <중석> 광물 정도 밖에 내다 팔것이 없었는데, 그리고 우리나라의 수출이 <머리카락>과 <지렁이> 까지 내다 팔면서 처음으로 <1억 불>을 넘어 서자 <박정희 대통령>이 너무도 기뻐서 그날을 <수출의 날>로 정하고 해마다 대대적으로 대회를 열고 올해는 얼마를 달성 한다고 기염을 토하던 것이 60년대 일인데, 라면 한가지를 팔아서 <2억 불 이상>의 수출을 간단히 달성하고 있으니 이런 것을 두고 <문창극씨>가 하느님의 뜻으로 내려진 시련을 잘 이겨내고 바로 서는 것이라고 했다고 한것이 잘못은 아닌것 같다. <일련의 사고>가 있었다고는 해도, 국민들은 이처럼 어려운 경제를 헤처 나가겠다고 발버둥을 치고 있는데, 모든 것이 <박근혜의 잘못>이라고 하면서 국민이 선거로 당선시킨 대통령을 물러나라고 소리지르는 사람들이 한쪽에 버티고 있으니 빨리 김정은이라도 무너져 주었으면 좋겠다. 참고로 우리 라면을 사먹어 주는 이웃들이 88올림픽을 계기로 늘어 나기 시작 하더니 지금은 아프리카의 케냐, 알제리등 오지에서도 인기를 얻으면서 팔리고 있다니 지금 이렇게 큰 줄기 가 된 <라면 군>의 씩씩한 활동상을 아래 표에서 읽어 보시라. <아래> 한국라면 수출국 (1).중국- $ 3,779만 (2).일본- $ 3,200만 (3).미국-$ 2,618만 (4).홍콩-$ 1,158만 (5).호주-$ 1,128만 (6).러시아-$1,048만 (7).필리핀-$ 999만 (8).대만-$ 650만 (9).캐나다-$ 596만 (10).영국-$ 535만 (11).말레이시아-$ 417만 (12).몽골-$ 412만 (13).베트남-$ 330만 (14).싱가폴-$ 309만 (15).뉴질랜드-$ 280만 (16).놀웨이-$ 252만 (17).네덜란드-$ 250만 (18).스웨덴-$ 240만 (19).사우디 아라비아-$ 222만 (20).아랍 에미리트-$ 185만 (이상) ![]() ![]() |
'소속 없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5를 " 위대한 항 미 원 조 ( 抗 美 援 朝 ) 전쟁 "이라 했던 시진핑 (0) | 2014.07.20 |
---|---|
不朽(불후)의 허리웃 女優들 (0) | 2014.07.10 |
펑리위안(彭丽媛) (0) | 2014.07.07 |
채명신 장군… 적장이 맡긴 고아, 교수로 키웠다 (0) | 2014.06.16 |
한국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유태인 (0) | 2014.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