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산 일대에 사는 독거노인들 집 수십 채 앞에는
맑은 천일염 30킬로그램 들이 포대가 놓여 있곤 했다
13년째다. 아무도 누군지 몰랐다. 지난해에
드디어 그의 정체가 드러났다.
“나 혼자 여러 해 동안 소금을 나르다 보니 힘이 들어서..”
읍 사무소에 맡기겠다고 소금을 트럭에 싣고 그가 자수했다.
강경환(50). 충남 서산 대산읍 영탑리에서 '부성염전'이라는
그런데 보니, 그는 두 손이 없는 장애인이 아닌가.
또 서류를 살펴보니 그는 7년 전까지
그 자신이 기초생활 수급자였던 빈한한 사람이 아닌가..
자기 앞가림하기도 바쁜 사내가 남을 돕는다..?
소금장수 강경환은 사건이 발생한 연월일시를 또렷하게 기억한다.
1972년 12월 24일 오전 9시 40분..
1959년생인 강경환이 초등학교 마지막 겨울방학을 맞은 6학년,
서산 벌말에 살던 강경환은 해변에서 ‘안티푸라민’ 통을 닮은
나비처럼 생긴 철사가 있길래 그걸 떼내 가지고 놀겠다는 생각에
돌로 깡통을 두드려댔다.
순간 앞이 번쩍하더니 참혹한 현실이 펼쳐졌다..!
안티푸라민이 아니라 전쟁 때 묻어놓은 대인지뢰,
폭발음에 놀란 마을 사람들이 집으로 달려와
경환을 업고 병원으로 갔다
사흘 뒤 깨어나 보니 손목 아래 두 손이 사라지고 없었다!
노래 잘해서 가수가 꿈이었던 소년의 인생이 엉망진창이 된 것은...
피를 너무 흘려서 죽었다고 생각했던 소년이 살아났다.
대신에 그 뒤로 3년 동안 경환은 집 밖으로 나가지 않고
어머니가 밥 먹여주고, 소변 뉘어주며 살았다고 했다.
소년은 고등학교 갈 나이가 되도록 그리 살았다. 인생.. 포기했다.
어머니가 친정에 가셨는데, 오시질 않는 겁니다. 배는 고프지…
3년만이었다. 석달 동안 숟가락질 연습해서 그 뒤로
스스로 밥을 먹고 스스로 혁대를 차게 되었다고 해서
인생이 완전히 바뀐 건 아니었다.
“모든 게 귀찮아서 농약 먹고 죽으려고 했다.
'열일곱 살 때부터 주막에 출근했다'고 말했다.
아침 10시에 출근해서 밤 12시에 퇴근했어요.“
주막에 친구들이 많이 있으니까, 술로 살았죠.”
"어느날 유인물이 하나 왔길래 무심코 버렸다가
아침에 다시 유인물을 보니까 정근자씨라고
,
강의를 한다는 거예요.
"야, 저런 사람도 사는데, 나는 그 반도 아닌데,
아주아주 훗날이 된 지금, 강경환은 이렇게 말한다.
“손이 있었다면 그 손으로 나쁜 짓을 하고 살았을 거 같다.
손이 없는 대신에 사랑을 알게 되고
마음의 변화를 갖게 되고, 새롭게 살게 되었다.”
술을 끊고, 일을 하기 시작했다. 삽질을 익히고,
오른쪽 손목에 낫을 테이프로 감고서 낫질을 하며
아버지 농사일을 도왔다.
1994년, 아버지 친구가 그에게 물었다
이미 1987년 교회에서 사랑을 만나 결혼한 가장이었다.
피눈물 나는 삶이 시작됐다.
농사 짓는 삽보다 훨씬 무겁고 큰 삽을 ‘손 몽둥이’로
놀리는 방법을 익히면서 해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