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과 은혜

韓國 國民들을 감동시킨 日本人 며느리!

정광국 2014. 3. 11. 18:58

韓國 國民들을 감동시킨 日本人 며느리!

 

효 실천 일본인 며느리의 '휴먼' 드라마 

 

 

대가족 이끌며 농사 생계 챙겨친정아버지 병들자 모셔와

돌아가실때까지 병수발도..한 여인이 있다.

산도 낯설고 물도 낯선 이국 땅에 시집와 나이 든 시부모를

]극진히 봉양하고 3년 전부터는 볼 수도 들을 수도 없는 남편

을 대신해 갖은농사를 지어가며 세딸을 모범생으로 키워내

고 있는 일본 태생의 이 여인. 국경을 넘은 지극한 효심과 헌

신적인 가족애로 주위를 감동시키고 있다.

멋진 한국 남성과 깊은 사랑에 빠졌을 뿐이었다.

저 한국으로 시집간 친구의 친구가 소개해 만난 한국 농촌

노총각이었다.

1년이 넘도록 몇십통의 편지가 대한해협을 넘나들었고, 꿈에

그리던얼굴을 마주하려 한국과 일본을 오가기도 했다.

게 미야자키 히사미(43)씨와 이진기(46)씨는 1997년

결혼에 골인했다.

일본 자동차회사에서 사무를 보던 일본 여성에게 강원도 양양

에서의 농사일은 쉽지 않은 선택이었다.

말이 통하지 않는 어려움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낯선 땅에서

부모님의 따뜻한 보살핌과 믿음직한 남편의 사랑이 없었다면

견딜 수 없는 세월이었다.

은별(9), 은솔(8), 은비(6) 딸 셋을 낳고 행복하게 살던 미야자키씨

게 마른하늘에 날벼락 같은 일이 벌어진 건 2004년. 하루 일을

마치고 돌아온 남편이 갑자기 앓아누웠다.

힘겨운 농사일에 몸살인 줄로만 알았다. 복통과 고열, 구토에 시

린 남편은 결국 서울아산병원까지 실려갔다. 진단 결과는 뇌수

막염이었다. 열은 40도까지 치솟았고, 한달 넘게 의식을 잃은남편 보지도 듣지도 못

하는 처지가 됐다.

절망했으나 주저앉을 수는 없었다. 그는 다소 서툰 한국말로 이렇

게 말했다.

“내가 남편을 너무 좋아해서 결혼한 건데요. 아프니까 더 사랑해

줘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차분한 말투였지만 눈에는 눈물이 고였다. 늙으신 시부모님과 어

세 딸, 시력·청력을 잃은 남편을 돌봐야 하는 고행길이 펼쳐졌

다. 남편이 일구던 느타리버섯 농장은 그가 감당할수 있을 정도로

줄어들었다.

남편의 1급 장애인 생활보조금 등 한달에 100만원 정도를 군청에서

받았지만, 대가족을 이끌어야 할 여성 가장의 삶은 고단하기만 했다.

설상가상으로 2005년 8월 일본에 있는 아버지가 뇌종양으로 쓰러

졌다는 소식이 날아들었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외동딸인 자신마저 한국으로 옮겨와 홀몸인

상태였다.

아버지를 위해 일본으로 돌아가려니, 못 보고 못 듣는 남편은 물론

 

시부모님과 자식들이 마음을 붙들어맸다. 결론은 “아버지를 모셔오

는 것”이었다.

아버지는 한국 땅 양양의 딸 곁에서 다섯달의 여생을 평안히

마칠 수 있었다.미야자키 히사미 (농협효행상 대상 수상자)

2007. 5.3일 오전 서울 농협중앙회 본사에서 만난 미야자키씨는 수줍게웃었다.

지역농협의 추천으로 그는 제12회 농협효행상 수상자가 됐다.

는 여전히 남편 생각뿐이었다지난해 300만원에서 3천만원

으로 늘어난 상금은, 남편이 편히 움직이며 생활할수 있는

설을 집에 갖추는 데 고 싶다고 했다.

“남편의 손가락으로 손바닥에 글을 써서 대화해요.

행상 받는다고 했더니, 남편이 ‘축하한다’고 했어요.

얼굴에 10년 전 새색시의 부끄러운 웃음이 피어났다.

 

 

미야자키 히사미 (농협효행상 대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