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작년 12월 15일에 개막돼 2월 28일까지 열리고
있는 전시회의 이름입니다. 영화 ‘국제시장’을 통해 더 잘 알려진 1950년
12월 14일부터 24일까지 계속됐던 미군 10만여 명과 10만 명 가까운 피난
민의 흥남부두 철수를 주제로 한 전시회입니다.
이 전시회를 둘러보다 눈에 띈 한 글귀가 저의 발을 멈추게 했습니다.
“6·25전쟁 때 10만 명의 피난민을 흥남에서 철수할 수 있도록 도왔지만 적
어도 백여만 명의 이산가족을 만든 장본인이나 다름없다. 이산가족 상봉과
재결합은 나의 생애를 걸고 노력하여 이뤄야 할 일이다” - 현봉학
의사인 현봉학(1922~2007)은 흥남철수 당시 미 제 10군단의 고문관으로
철수 작전을 지휘하던 군단장 에드워드 알몬드 사령관에게 민간인 철수를
건의해 실행케 한 사람입니다. 공산 치하에 살던 민간인들을 구출해 낸 미
군의 영웅적인 작전으로 알려진 흥남철수작전입니다.
그 작전을 성공시킨 주역이 그 작전으로 인해 생겨난 수많은 이산가족들에
대한 죄책감으로 괴로워했다는 사실이 처절하게 느껴졌습니다. 더욱이 그
가 생애를 걸고 이루고자 했던 상봉이 분단 70년이 넘도록 일천만 이산가족
중 2,000명도 안 되고 있는 현실에 생전의 그가 얼마나 가슴아파했을까를
생각하게 됩니다.
저의 발길을 멈추게 한 또 하나의 글귀가 있었습니다.
“북한군이 밀려나고 유엔군이 함흥에 들어왔을 때, 북한군 치하에서 벗어났
다고 만세를 불렀던 사람들은 난감했어요. 우리 집도 몰살될 수 있어 아버
지가 저만 먼저 이웃과 함께 피난을 보냈어요. 그렇게 가족들과 헤어지게
됐지요.” -신유항
함흥 태생으로 1950년 원산농업학교를 나온 신유항(87) 씨는 경희대 교수
를 거쳐 현재 경기도 양평 곤충박물관장으로 있는 분입니다. 민초들 사이에
서 피아(彼我)의 개념도 모호했던 6·25전쟁에서 그들은 점령군이 밀려와 만
세를 부르라고 하면 불러야 했을 것입니다.
신씨는 운 좋게 남으로 피난을 와서 생명을 부지할 수 있었지만 그의 염려
대로 가족들은 만세를 부른 이유로 몰살을 당했을지도 모릅니다. 남한에서
도 북한군이 왔을 때 만세를 부른 수많은 사람들이 부역 혐의로 아군에 의
해 죽었거나, 월북을 했을 것입니다.
2008년 8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유복연 씨의 유서에도 눈길을 떼기 어
려웠습니다. 유씨는 임종 직전, 펜을 잡을 힘도 없는 듯이 흔들리는 필체로
‘우리민족의 恨’이라는 제목의 유서를 썼습니다.
‘아버지 어머니 이 불효자를 용서하여 주세요.’로 시작되는 유서에서 유씨는
‘자식이 부모에게 효도도 못하고 88세로 마감합니다. (중략) 이것이 누구의
잘못입니까. 민족의 잘못입니까, 정치인들의 잘못입니까’라고 피를 토하듯
탄식했습니다.
그는 가계도와 함흥시의 고향집의 위치를 그린 지도를 유서에 붙였습니다.
자손들이 통일되는 날 찾아갈 수 있도록 길안내를 한 그 절절한 마음 앞에
가슴이 먹먹해졌습니다. 일천만 이산가족들이 남긴 이런 유서를 다 모으면
산더미가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