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가 음악

Amazing Grace

정광국 2013. 4. 30. 14:45

 

  Amazing Grace 

 

Amazing Grace
지금으로부터 175년 전인 1838~39년.
지금의 미국 동부 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 조지아, 앨러배마 주

일대에 살고 있던 체로키 인디언이 백인 이주민 국가
'미합중국'의 강제 이주령에 의해 고향에서 5천리(2000km)

떨어진 머나먼 오클라호마 주 허허벌판으로 쫓겨났습니다.
이들이 미국 기병대에 쫓겨 피눈물을 흘리며 떠난 사연을

미국사에서 '눈물의 길' 또는 '눈물의 행로' (the Trail of Tears)

라고 하지요.  정확히 말하면 '눈물과 죽음의 길'이었습니다.


화가 로버트 린드노(1871~1970)가 그린 '눈물의 길'(1942년 작)

결국 추위와 굶주림, 질병으로 얼추 4,000명이 도중에 숨졌습니다.
이 피눈물과 죽음의 강제이주는 1839년 봄에 끝났습니다.
이때 이들이 부른 노래가 Amazing Grace였습니다.

죽은 이들을 땅에 묻으며 이 노래의 영감을 빌려 그들의 명복을 빌었고

살아남은 이들의 힘을 북돋우기 위해 이 노래를 불렀습니다.

이 노래를 체로키어로 번역해 이들에게 전해 준 인물은 이들과 함께

살면서 강제이주에 끝까지 반대해 법정투쟁까지 하며

이들을 도운 백인 선교사 새뮤얼 워시스터(1798~1859)였습니다.

오늘날 체로키 인디언들은 이 노래를  거의 애국가처럼 부릅니다.

 

 

'Amazing Grace'를 직역하면 '놀라운 은총'이며

위 강제이주의 설움과 고통을 표현할 때 곡명은 '눈물의 길'입니다.

 

팬플루트의 명인 David Doring 연주입니다

 

 

한곡 더 듣고 싶으신 분을 위해 준비한 곡입니다 

 

편집 / 해설 : amenseok (rainbow) 010-3526-1266